조지 그렌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그렌빌은 1712년 하원 의원 가문에서 태어나 이튼 칼리지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1741년 하원 의원으로 당선된 후 해군 재무 담당관, 하원 원내대표, 북부 담당 국무대신 등을 역임했으며, 1763년 총리에 취임했다. 그는 인지세법 제정을 통해 재정 확보를 시도했지만, 식민지 주민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미국 독립 전쟁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윌크스 사건에 대한 강경 대응으로 왕실과 정부의 권위가 실추되었으며, 1765년 섭정법 제정 문제로 조지 3세와 갈등을 겪고 해임되었다. 그는 이후 야당 활동을 했으며, 1770년 사망했다. 그의 아들 윌리엄 그렌빌은 훗날 총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렌빌가 - 제1대 그렌빌 남작 윌리엄 그렌빌
윌리엄 그렌빌은 제1대 그렌빌 남작으로, 영국 정치가이자 귀족으로서 윌리엄 피트 내각의 요직과 외무부 장관을 거쳐 총리까지 역임하며 노예 무역 폐지에 기여하고 옥스퍼드 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 1712년 출생 - 프리드리히 2세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2세는 1740년부터 1786년까지 프로이센을 통치한 국왕으로, 예술과 계몽주의를 옹호하며 영토 확장과 개혁을 통해 프로이센을 강국으로 만들었으나 슐레지엔 침공과 같은 논란도 일으켰다. - 1712년 출생 - 효현순황후
효현순황후는 건륭제의 황후로, 건륭제와 혼인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검소하고 덕망 있는 인물로 건륭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남순 중 사망했다. - 1770년 사망 - 조반니 바티스타 티에폴로
조반니 바티스타 티에폴로는 베네치아 출신의 로코코 화가로, 밝고 화려한 색채와 환상적인 구성을 통해 우디네 대성당, 뷔르츠부르크 레지덴츠, 마드리드 왕궁 등 유럽 각지의 궁전과 교회를 장식하며 18세기 유럽 회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770년 사망 - 스즈키 하루노부
스즈키 하루노부는 에도 시대의 우키요에 화가로, 다색 목판화 기법인 니시키에를 발전시켜 우키요에 발전에 기여했으며, 미타테에 양식으로 에도 시대 생활상을 담아낸 섬세하고 서정적인 작품을 남겼다.
조지 그렌빌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존칭 접두사 | 각하 |
이름 | 조지 그렌빌 |
원어 이름 | George Grenville |
![]() | |
출생일 | 1712년 10월 14일 |
출생지 | 워턴 언더우드, 잉글랜드 |
사망일 | 1770년 11월 13일 |
사망지 | 메이페어, 잉글랜드 |
안장 장소 | 올 세인츠 교회 묘지, 워턴 언더우드 |
![]() | |
정치 | |
정당 | 휘그당 (그렌빌파) |
의회 의원 | 버킹엄 |
의원 임기 시작 | 1741년 6월 11일 |
의원 임기 종료 | 1770년 11월 13일 |
이전 의원 | 리처드 그렌빌 |
다음 의원 | 제임스 그렌빌 |
총리 임기 시작 | 1763년 4월 16일 |
총리 임기 종료 | 1765년 7월 10일 |
군주 | 조지 3세 |
이전 총리 | 뷰트 백작 |
다음 총리 | 로킹엄 후작 |
재무 장관 임기 시작 | 1763년 4월 16일 |
재무 장관 임기 종료 | 1765년 7월 16일 |
이전 재무 장관 | 프랜시스 대시우드 경 |
다음 재무 장관 | 윌리엄 다우즈웰 |
해군 장관 임기 시작 | 1762년 10월 14일 |
해군 장관 임기 종료 | 1763년 4월 16일 |
이전 해군 장관 | 핼리팩스 백작 |
다음 해군 장관 | 샌드위치 백작 |
북부 담당 국무장관 임기 시작 | 1762년 5월 27일 |
북부 담당 국무장관 임기 종료 | 1762년 10월 9일 |
이전 북부 담당 국무장관 | 뷰트 백작 |
다음 북부 담당 국무장관 | 핼리팩스 백작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엘리자베스 윈덤(1749년 5월 결혼, 1769년 12월 5일 사망) |
자녀 | 조지 샬럿 토머스 윌리엄 |
부모 | 리처드 그렌빌 헤스터 템플 |
모교 | 크라이스트 처치, 옥스퍼드 이튼 칼리지 |
2. 생애
하원 의원 가문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이튼 컬리지와 옥스퍼드 크라이스트처치 대학을 거쳐 법학원을 졸업했다. 1741년 버킹엄에서 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의회 내에서는 반 월폴파인 뉴캐슬 공작과 처남 윌리엄 피트 등과 친분을 쌓았다. 해군재무 담당관(1757년), 하원의장 (1761년), 북부 담당 국무대신(1762년), 해군장관(1763년) 등 여러 직책을 역임하며 경력을 쌓았다.
1763년 4월 8일 총리에 취임했으나, 조지 3세 국왕에 대한 뷰트 백작의 영향력이 강해 리더십 발휘에 어려움을 겪었다. 취임 직후 발생한 윌크스 사건에 강경하게 대응했으나 결과적으로 왕실과 정부의 위신을 손상시켰다. 또한 7년 전쟁 이후 재정 확보를 위해 《인지세법》 등을 통과시켜 13개 식민지에 대한 과세를 단행했다. 이는 하원의 합의에 따른 것이었지만, 식민지의 거센 반발을 예상하지 못했고 본국과 식민지 간의 갈등을 심화시켜 미국 독립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섭정법 제정 문제로 조지 3세와의 관계도 악화되어 결국 1765년 7월 총리직에서 파면되었다.
1749년 준남작 윌리엄 윈담의 딸 엘리자베스와 결혼했으며, 막내아들 윌리엄 윈담 그렌빌은 후에 총리가 되었다.
2. 1. 초기 생애 (1712-1741)
조지 그렌빌은 하원 의원 가문에서 태어나 이튼 칼리지와 옥스퍼드 대학교 크라이스트 처치 등에서 교육을 받고 법률 공부를 하여 변호사 자격을 얻었다.[25] 1741년에는 버킹엄 선거구에서 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2. 1. 1. 가족
조지 그렌빌은 1712년 10월 14일 워턴 하우스(Wotton House)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하원 의원이었던 리처드 그렌빌 경(Sir Richard Grenville)이고, 어머니는 후에 초대 템플 백작부인이 되는 헤스터 그렌빌(Hester Grenville)이다.[2][24] 그랜빌 가문은 버킹엄셔의 유력한 젠트리 가문이었다.
그는 다섯 형제 중 둘째 아들이었으며, 형제들은 모두 국회의원이 되었다. 그의 형은 리처드 그렌빌-템플로, 후에 제2대 템플 백작 작위를 계승했다.[24] 여동생 헤스터 그렌빌은 영국의 유력 정치인이었던 윌리엄 피트와 결혼했다.[2]
1749년, 그렌빌은 엘리자베스 윈덤(Elizabeth Wyndham, 1719년 – 1769년 12월 5일)과 결혼했다.[22] 엘리자베스는 준남작 윌리엄 윈담 경(Sir William Wyndham, 3rd Baronet)의 딸이자 찰스 시모어 서머싯 공작(Charles Seymour, 6th Duke of Somerset)의 손녀였다. 부부는 네 명의 아들과 네 명의 딸을 두었다고 알려져 있으나[23], 다섯 명의 딸을 두었다는 기록도 있다.[22]
이름 | 생몰년 | 비고 |
---|---|---|
리처드 그렌빌 (Richard Grenville) | ? – 1759년 | 요절 |
조지 뉴전트-템플-그렌빌 (George Nugent-Temple-Grenville) | 1753년 6월 17일 – 1813년 2월 11일 | 초대 버킹엄 후작. 제1대 버킹엄 앤드 챈도스 공작의 아버지. |
샬롯 그렌빌 (Charlotte Grenville) | 1754년경 – 1830년 9월 29일 | 1771년 워킨 윌리엄스-윈 경(Sir Watkin Williams-Wynn, 4th Baronet)과 결혼. |
토머스 그렌빌 (Thomas Grenville) | 1755년 12월 31일 – 1846년 12월 17일 | 국회의원, 서적 수집가. 미혼. |
엘리자베스 그렌빌 (Elizabeth Grenville) | 1756년 10월 24일 – 1842년 12월 21일 | 1787년 존 프로비 캐리스포트 백작(John Proby, 1st Earl of Carysfort)과 재혼. |
윌리엄 그렌빌 (William Grenville) | 1759년 10월 25일 – 1834년 1월 12일 | 수상 역임 (1806–1807). |
캐서린 그렌빌 (Catherine Grenville) | 1761년 – 1796년 11월 6일 | 1780년 리처드 네빌-올드워스(Richard Neville-Aldworth), 후일 제2대 브레이브룩 남작과 결혼. |
헤스터 그렌빌 (Hester Grenville) | 1767년 이전 – 1847년 11월 13일 | 1782년 휴 포티스큐 포티스큐 백작(Hugh Fortescue, 1st Earl Fortescue)과 결혼. |
조지 그렌빌은 1770년 사망 당시, 아들이 없던 형 리처드(제2대 템플 백작)의 추정상속인이었다. 1779년 형이 사망하자, 조지의 장남(생존 자녀 중 장남)인 조지가 제3대 템플 백작 작위를 계승했고, 후에 버킹엄 후작으로 봉해졌다. 그의 남계 후손은 1889년 제3대 버킹엄 앤드 챈도스 공작의 사망으로 단절되었다.
2. 1. 2. 교육
1725년부터 1728년까지 이튼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다. 이후 1729년 인너 템플에 입학하였고, 1730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 크라이스트 처치에 들어갔으나 졸업하지는 않았다. 1734년 린컨 법률학교에 입학하였으며, 1735년 인너 템플에서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25]2. 2. 초기 정치 경력 (1741-1756)
이튼 컬리지와 옥스퍼드 크라이스트처치 대학 졸업 후 법학원을 마친 그는 1741년 버킹엄 선거구에서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24] 그는 휘그당 소속으로, 처남인 윌리엄 피트(대피트) 등과 함께 로버트 월폴 총리에 반대하는 '소년 애국자' 파에 합류하여 활동했다. 그의 첫 의회 연설은 1742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관련 위원회 설립 동의안에 찬성하는 것이었다.[25]월폴 실각 후, 그렌빌은 정부 내에서 경력을 쌓기 시작하여 1744년부터 해군성 차관(Lord of Admiraltyeng), 1747년부터 재무성 차관(Lord of Treasuryeng)을 역임했다.[25] 1754년에는 초대 뉴캐슬 공작 내각에서 해군 재무장관(Treasurer of the Navyeng)이 되었고, 같은 해 추밀원 의원으로 임명되었다.[24][26] 그러나 이듬해인 1755년, 유럽 대륙 분쟁 개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러시아 제국과의 보조금 조약에 피트와 함께 반대하다가 해군 재무장관직에서 해임되었다.[4] 이후 그는 피트와 함께 야당 활동을 펼치며 뉴캐슬 정부를 비판했고, 이는 1756년 뉴캐슬 내각의 사임에 영향을 미쳤다.
2. 2. 1. 의회 입성
하원 의원을 지낸 가문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이튼 컬리지와 옥스퍼드 크라이스트처치 대학을 졸업하고 법학원을 마쳤다. 1741년, 버킹엄 선거구에서 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으며, 사망할 때까지 29년 동안 같은 선거구를 대표했다. 그는 유망한 법조인 경력을 포기하고 불확실한 야당 정치의 길을 선택하는 것에 대해 처음에는 실망감을 느꼈다고 알려져 있다.[3]의회에 들어선 그는 당시 총리였던 로버트 월폴에 반대하는 젊은 의원들의 모임인 "소년 애국자"(Boy Patriotseng) 파에 합류했다. 특히 그는 자신의 삼촌인 코브햄 경의 강력한 후원을 받았다. 코브햄 경은 그렌빌과 그의 형 리처드, 처남인 윌리엄 피트(대피트), 그리고 조지 리틀턴 등을 포함하는 정치 파벌, 이른바 코브햄의 새끼 사자들(Cobham's Cubseng)의 지도자였다. 휘그당 소속이었지만, 처남 윌리엄 피트와 함께 월폴 내각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며 월폴 정권의 퇴진을 목표로 활동했다. 그의 의회 첫 연설은 1742년 1월 21일에 있었는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수행 상황을 조사하기 위한 비밀위원회 설립 동의안에 찬성하는 내용이었다.[25]
월폴이 실각한 후, 그렌빌은 1744년부터 10여 년간 해군성과 재무성에서 여러 직책을 맡으며 경력을 쌓아나갔다. 구체적으로는 1744년부터 1747년까지 해군성 차관(Lord of the Admiraltyeng), 1747년부터 1754년까지 재무성 차관(Lord of the Treasuryeng)을 역임했다.[25] 1754년에는 초대 뉴캐슬 공작 내각에서 해군 재무장관(Treasurer of the Navyeng)이 되었고, 같은 해 6월 21일에는 추밀원 의원으로 임명되었다.[26][24] 잠시 대피트를 따라 사임하기도 했으나, 1757년 대피트가 남부 담당 국무장관으로 입각한 제2차 뉴캐슬 공작 내각에서 다시 해군 재무장관직을 맡아 1762년까지 재임했다.[24]
그러나 이후 대피트와의 관계는 점차 소원해졌다. 1761년 10월, 대피트가 남부 담당 국무장관직을 사임하고 야당으로 돌아섰을 때에도 그렌빌은 내각에 남았으며, 대피트를 대신해 하원 원내총무를 겸임했다. 이러한 그의 행보는 1760년에 즉위한 조지 3세와 국왕의 총신이었던 뷰트 백작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들은 그렌빌이 뉴캐슬 공작이나 대피트와 거리를 두고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그 결과, 1762년 5월 뉴캐슬 공작 계열의 휘그당 세력을 배제하고 성립된 뷰트 백작 내각에서도 그는 자리를 지킬 수 있었다. 처음에는 북부 담당 국무장관(Secretary of State for the Northern Departmenteng)을 맡았고,[24] 이후 1762년부터 1763년까지는 해군대신(First Lord of the Admiraltyeng)을 역임했다.[24] 다만 하원 원내총무 자리는 헨리 폭스에게 넘겨주게 되었다.
2. 2. 2. 코브햄파
1741년, 그렌빌은 아버지가 의석을 가졌던 버킹엄 지역구에서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정계에 입문했으며, 사망할 때까지 29년간 같은 지역구를 대표했다.[24] 그는 유망한 법조인 경력을 포기하고 불확실한 야당 정치의 길을 선택하는 것에 다소 실망감을 느꼈다고 전해진다.[3]의회 초기에 그는 당시 총리였던 서 로버트 월폴에 반대하는 젊은 정치인들의 모임인 "소년 애국자(Boy Patriots)" 그룹에 합류했다. 특히 그는 자신의 삼촌인 코브햄 경의 강력한 후원을 받았다. 코브햄 경은 조지 그렌빌 자신과 그의 형 리처드, 처남이기도 한 윌리엄 피트(대피트), 그리고 조지 리틀턴 등을 아우르는 정치 파벌을 이끌었는데, 이들은 훗날 '코브햄의 새끼 사자들(Cobham's Cubs)'로 알려지게 된다.
휘그당 소속이었으나, 처남인 윌리엄 피트(대피트)와 함께 반(反) 월폴파 휘그로서 활동하며 월폴 내각의 퇴진을 목표로 삼았다. 그의 의회 첫 연설은 1742년 1월 21일에 있었으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수행 상황을 조사하기 위한 비밀위원회 설립 동의안에 찬성하는 내용이었다.[25]
2. 2. 3. 관직 역임
이튼 컬리지와 옥스퍼드 크라이스트처치 대학을 졸업하고 법학원을 마친 후, 1741년 버킹엄 선거구에서 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다.[24] 그는 휘그당 소속이었지만, 매형인 윌리엄 피트(대피트)와 함께 로버트 월폴 총리에 반대하는 파벌에서 활동하며 월폴 내각의 퇴진을 추구했다. 그의 첫 의회 연설은 1742년 1월 21일,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수행 조사를 위한 비밀위원회 설립 동의안에 찬성하는 내용이었다.[25]월폴이 실각한 후, 그렌빌은 여러 정부 직책을 거치며 경력을 쌓았다. 그의 주요 관직 역임 경로는 다음과 같다.
연도 ! 관직 ! 비고 |
---|
해군성 차관 (Lord of Admiralty) | 헨리 펠햄 행정부 소속[25] |
재무성 차관 (Lord of Treasury) | [25] |
해군 재무관 (Treasurer of the Navy) | 제1차 뉴캐슬 공작 내각 소속. 1754년 6월 21일 추밀원 의원으로 임명됨.[24][26] |
해임 | 러시아와의 보조금 조약에 반대하여 피트와 함께 해임됨.[4] |
해군 재무관 (Treasurer of the Navy) | 제2차 뉴캐슬 공작 내각에서 복직.[24] |
하원 원내총무 | 1761년 10월, 피트가 사임하고 야당으로 돌아섰을 때 내각에 잔류하며 겸임함. |
북부 담당 국무대신 | 뷰트 백작 내각 소속.[24] |
해군대신 (First Lord of the Admiralty) | 뷰트 백작 내각 소속. 하원 원내총무직은 헨리 폭스에게 넘김. |
총리 | 조지 3세 국왕의 신임을 얻어 취임했으나, 여러 정책적 실패와 국왕과의 관계 악화로 파면됨. |
초기에는 윌리엄 피트와 정치적 행보를 같이 했으나, 점차 그와 거리를 두게 되었다. 1761년 피트가 내각에서 사임했을 때 그렌빌은 잔류했으며, 이는 조지 3세와 뷰트 백작의 호감을 사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뷰트 백작 내각에서 북부 담당 국무대신과 해군대신을 역임하며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
1763년 4월 8일, 그렌빌은 마침내 총리 자리에 올랐다. 하지만 그의 내각은 윌크스 사건 처리 미숙, 7년 전쟁 이후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한 인지세법 등 식민지 과세 정책 강행으로 인해 큰 반발에 부딪혔다. 특히 인지세법은 13개 식민지의 격렬한 저항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훗날 미국 독립 전쟁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섭정법 제정 문제로 조지 3세와의 관계마저 악화되어 결국 1765년 7월 총리직에서 파면되었다.
2. 2. 4. 대륙 개입 반대
1754년 그랜빌은 해군 재무관이자 추밀원 의원이 되었다. 피트와 다른 동료들과 함께 그는 최근 러시아와의 보조금 조약에 대해 정부에 반대하여 발언하고 투표한 후 1755년 해임되었다. 그들은 그 조약이 불필요하게 비용이 많이 들고 영국을 유럽 대륙 분쟁에 끌어들일 것이라고 믿었다. 유럽에 대한 개입 반대는 애국적 휘그파 사상의 핵심이었다.그와 피트는 반대파에 합류하여 뉴캐슬 정부를 비난했다. 그랜빌과 피트는 모두 정부가 선호하는 헤센 용병 배치보다 추가적인 안보를 제공하기 위해 영국 민병대의 창설을 옹호했다.[4] 미노르카 함락 이후 군사 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정부는 점점 더 약해져 1756년 가을 사임할 수밖에 없었다.
2. 3. 정부 참여 (1756-1763)
조지 그렌빌은 1750년대 중반 이후 정부 내에서 점차 중요한 역할을 맡기 시작했다. 그는 뉴캐슬 공작 및 윌리엄 피트 등 당시 주요 정치 세력과 관계를 맺으며 경력을 쌓았다. 1757년에는 해군 재무장관에 임명되었고, 이 직책을 1762년까지 유지하며 7년 전쟁 기간 동안 해군 관련 재정을 담당했다.이후 그는 1761년 하원 원내대표로 임명되어 의회 운영의 중심 역할을 맡았으며, 1762년에는 잠시 북부 담당 국무대신을 지냈다. 같은 해 말에는 해군 장관으로 자리를 옮겨 1763년까지 재직했다. 이처럼 그렌빌은 여러 고위직을 거치며 정치적 입지를 강화했고, 이는 훗날 그가 총리직에 오르는 기반이 되었다.
2. 3. 1. 해군 재무관 복귀
피트는 이후 데번셔 공작이 이끄는 정부를 구성했다. 그렌빌은 이 정부에서 해군 재무장관으로 복귀했으나, 더 명망 높고 수입이 많은 군수장 직책을 기대했기에 실망했다.[5] 이는 그렌빌이 피트 등이 자신보다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인물들을 선호하며 자신을 배제한다고 느꼈던 과거의 경험들에 더해진 실망이었다. 이 시점부터 그렌빌은 피트에 대한 불만을 키워갔고, 피트에게 비판적이었던 젊은 웨일스 왕자 및 그의 고문 버트 경과 관계를 다졌다.[6]1758년, 해군 재무장관으로서 그렌빌은 수병들의 임금 지급 방식을 개선하고, 복무 중인 수병의 가족 부양을 위한 더 공정한 제도를 마련하는 법안을 발의하여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효율성 논란과 별개로 인도주의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7] 그는 영국이 큰 승리를 거둔 해들, 특히 1759년 기적의 해에도 해군 재무장관직을 유지했다. 당시 정부는 이러한 승리의 공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같은 해, 일곱 살 된 아들이 오랜 투병 끝에 사망하자 그렌빌은 워턴의 자택에서 아들의 곁을 지키며 런던 활동을 거의 중단했다.[8]
2. 3. 2. 수병 임금 지급 개선
1758년 해군 재무장관으로서 그렌빌은 수병의 임금 지급 방식을 개선하고, 그들이 바다에 나가 있는 동안 가족을 부양할 수 있도록 더 공정한 제도를 마련하는 법안을 발의하여 통과시켰다.[7] 이 법안은 그 효율성과는 별개로 인도주의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7] 그는 영국이 7년 전쟁에서 연이어 승리하던 시기, 특히 1759년 기적의 해로 불리는 해에도 이 직책을 계속 맡았다.[8]2. 3. 3. 하원 원내대표
조지 그렌빌은 영국 하원에서 두 차례에 걸쳐 원내대표직(당시 명칭은 하원 원내총무)을 수행했다.첫 번째 임기는 1761년부터 1762년까지로, 윌리엄 피트의 뒤를 이어 하원을 이끌었다. 이 시기는 그가 정치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던 때로, 하원 내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그의 후임으로는 헨리 폭스가 임명되었다.
두 번째 임기는 1763년부터 1765년까지 이어졌으며, 이번에는 헨리 폭스의 후임으로 다시 원내대표직을 맡았다. 이 기간은 그가 영국의 총리로 재직하던 시기와 겹치는데, 행정부 수반과 의회 운영의 책임을 동시에 지게 된 것이다. 총리직과 하원 원내대표직을 겸임하며 그는 정부 정책, 특히 논란이 많았던 13개 식민지에 대한 과세 정책 등을 의회에서 통과시키는 역할을 주도했다. 1765년 총리직에서 물러나면서 하원 원내대표직도 헨리 시모어 콘웨이에게 넘겨주었다.
2. 3. 4. 북부 담당 국무대신

1762년 5월, 그렌빌은 북부 담당 국무대신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7년 전쟁을 종결시키기 위한 프랑스, 스페인과의 평화 협상이 진행 중이었는데, 그렌빌은 이 협상에서 점차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10] 그는 영국이 정복한 영토를 반환하는 대가로 훨씬 더 많은 보상을 요구했다. 하지만 당시 총리였던 버트 백작은 보다 관대한 조건을 선호했으며, 결국 버트 백작의 입장이 파리 조약의 기초가 되었다.
이러한 입장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렌빌은 이전의 정치적 동맹들보다는 버트 백작과 더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의 옛 동맹들은 그렌빌보다 평화 조약에 대해 더 강하게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10월에 그는 제1 해군경이 되었다.
2. 3. 5. 해군 장관
1762년 10월, 제1 해군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0] 당시 헨리 폭스가 하원 원내대표를 맡아 의회에서 평화 조약을 통과시켰다.2. 4. 총리 재임 (1763-1765)
1763년 4월 8일 뷰트 백작의 뒤를 이어 총리에 취임하여 1765년 7월까지 재임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초기 뷰트 백작의 영향력 아래에서 국정을 운영해야 했으며, 여러 중요한 정치적 사건들을 겪었다.재임 중 윌크스 사건이 발생하여 정부의 대응 방식이 논란이 되었고, 7년 전쟁 이후의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3개 식민지에 《인지세법》(Stamp Act)을 부과하여 식민지의 거센 반발을 샀다. 이는 훗날 미국 독립 전쟁의 불씨가 되었다. 또한 섭정법 제정 문제 등으로 국왕 조지 3세와의 관계가 악화되어 결국 총리직에서 해임되었다.
2. 4. 1. 총리 임명
뷰트 백작은 자신에게 쏟아지는 적대적인 언론의 공격과 계속되는 정부의 인기 하락으로 인해 결국 사임 의사를 밝혔다. 조지 3세 국왕은 그의 사임을 꺼렸지만 결국 받아들였다. 국왕은 후임 총리로 누구를 임명해야 할지 확신하지 못했고, 뷰트는 그렌빌을 강력히 추천했다. 조지 3세는 자신의 장관들을 불신하고 못마땅하게 여기고 있었으나, 그렌빌을 총리직에 임명하는 것을 고려하게 되었다.그렌빌은 총리직 제안을 받았을 때, 뷰트가 더 이상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정부 정책에 대해 간섭하지 않는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국왕은 이 조건에 동의하며 그렌빌에게 "자신의 정부를 전적으로 그의 손에 맡기려 한다"고 확신시켜 주었고, 그를 새로운 총리로 임명했다.
1763년 4월 16일, 그렌빌은 공식적으로 총리직을 시작하며 자신의 내각을 구성했다. 그는 자신의 신뢰하는 동맹자인 할리팩스 경을 북부 장관으로, 에그레몬트 경을 남부 장관으로 임명했다. 또한 노딩턴 경을 대법관으로, 그랜빌 경을 추밀원 의장으로 임명하여 정부의 주요 직책을 채웠다.
2. 4. 2. 국내 문제
1763년 4월 8일 총리에 취임했지만, 국왕 조지 3세에 대한 제3대 뷰트 백작 존 스튜어트의 영향력이 여전히 강하여 강한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했다. 취임 직후 발생한 윌크스 사건에 강경하게 대응했으나, 이는 결과적으로 왕실과 정부의 위신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그렌빌 정권은 7년 전쟁 이후 재정 확보를 위해 인지세법 등을 통과시켜 13개 식민지에 대한 과세를 단행했다. 이는 그렌빌 개인의 독단적인 결정이라기보다는 하원의 합의에 따른 것이었으나, 식민지의 거센 반발을 예상하지 못했다. 이 과세 조치는 본국과 식민지 간의 관계를 악화시켰고, 훗날 미국 독립 전쟁(1775년-1783년)의 한 원인이 되었다. 이 외에도 섭정법 제정 문제를 둘러싸고 조지 3세와의 관계가 악화되었으며, 결국 1765년 7월 총리직에서 파면되었다.2. 4. 3. 식민지 개혁
그렌빌 정권은 7년 전쟁 종전 후의 재정 확보를 목적으로 《인지세법》(Stamp Act) 등의 법을 통과시키고, 13개 식민지에 대한 과세를 단행했다. 이것은 그렌빌이 독단적으로 추진한 것은 아니었고 오히려 하원의 합의에 따른 것이었지만, 식민지의 《인지세법》에 대한 거센 반발은 당시 예상하지 못했다. 이를 계기로 본국과 식민지의 사이는 벌어졌고, 이는 곧 미국 독립 전쟁(1775년-1783년)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2. 4. 4. 외교 정책
1763년 2월 파리 조약의 체결은 공식적으로 7년 전쟁의 종결을 의미했다. 이로 인해 외교 정책은 군사 정책 및 외교와 함께 영국 국내 정치 및 정부 의제의 주요 관심사에서 다소 벗어나게 되었다. 대신 그렌빌 내각의 존속과 같은 보다 시급한 국내 문제로 관심이 옮겨갔다.그러나 프랑스 및 스페인과의 관계는 여전히 적대적이었고, 이러한 불신은 그렌빌의 외교 정책 전반을 특징지었다. 이후 프랑스와 스페인이 아메리카 대륙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영국의 식민 통치에 반대하는 세력을 지원하고 유럽 대륙의 영국 동맹국들을 위협하기 시작하자, 이는 영국 주권 침해로 간주되어 영국 정치인들 사이에서 분쟁과 불만이 증폭되었다.
당시 영국은 유럽 대륙에 동맹국이 없었고, 가지고 있던 동맹국들 또한 군사적 또는 정치적 힘이 약하거나 미미했기에 영국은 점차 고립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스페인과 프랑스와의 분쟁에서 그렌빌은 영국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훗날 총포 외교로 불리게 된 강압적인 방법을 사용했다.[13]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영국의 국제적 고립은 심화되었고, 다른 주요 유럽 열강과의 동맹을 맺는 데 실패했다. 이러한 고립 상태는 그 후의 정부들도 개선하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영국은 미국 독립 전쟁 동안 주요 동맹국 없이 여러 국가와 싸워야 하는 불리한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2. 4. 5. 해임
총리 취임 직후 발생한 윌크스 사건에 강경하게 대응했으나, 이는 결과적으로 왕실과 정부의 위신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7년 전쟁 이후의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지세법》 등을 제정하여 13개 식민지에 대한 과세를 강행했다. 이 결정은 그렌빌 독단이 아닌 하원의 합의에 따른 것이었지만, 식민지의 격렬한 반발을 예상하지 못했다. 이 과세 정책은 본국과 식민지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고, 훗날 미국 독립 전쟁(1775년-1783년)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이러한 대외적 문제뿐만 아니라, 섭정법 제정 문제를 둘러싸고 조지 3세 국왕과의 관계마저 악화되었다. 국왕은 그렌빌을 불신하게 되었고, 여러 차례 윌리엄 피트에게 내각 구성을 요청했으나 실패하자 결국 로킹엄 경에게 의지하게 되었다. 로킹엄이 총리직을 수락하자 국왕은 1765년 7월 그렌빌을 해임했다. 그는 이후 다시는 관직에 오르지 못했다.[22]
그렌빌은 의회 절차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행정 세부 사항 처리 능력은 뛰어났지만, 사람을 다루거나 정치적 상황을 읽는 감각은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온화한 목동"이라는 별명은 1763년 사과주법 논의 당시, 새로운 세금을 어디에 부과해야 할지 반복적으로 물으며 의회를 지루하게 만들었을 때 윌리엄 피트가 당시 유행하던 노래 'Gentle Shepherd, tell me where'의 선율을 휘파람으로 불면서 조롱한 데서 유래했다.[14]
3. 총리 퇴임 이후 (1765-1770)
1765년 7월 총리직에서 파면된 이후, 그렌빌은 하원에서 야당 의원으로 활동하며 주요 정치 현안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개진했다. 이 시기 그는 존 윌크스 사건, 코르시카 문제 등 다양한 사안에 관여했으며, 선거 분쟁 해결을 위한 입법 활동에도 기여했다.
3. 1. 야당 활동
1766년부터 1768년까지 피트가 이끄는 챗험 내각에 적극적으로 반대했다.[15] 이후 그렌빌은 말년에 노련한 정치가로서 하원에서 특정 파벌이나 당에 얽매이지 않으려 했다. 그는 1768년 총선에서 자신의 핵심 지지자들을 성공적으로 재선시켰다. 그의 지지자 중에는 로버트 클라이브와 조지 새크빌 경 등이 있었으며, 형인 템플 경의 지원도 받았다.1768년 말, 그렌빌은 피트와 화해하고 다시 힘을 합쳤다. 이는 1761년 피트가 정부에서 사임하면서 깨졌던 협력 관계를 복원한 것이었다.[16] 그렌빌은 미들섹스 선거 분쟁 당시 야당 세력을 성공적으로 규합하는 역할을 했다.
한편, 그렌빌은 주간지 "노스 브리튼"에 조지 3세 국왕의 연설을 비판하는 글을 실은 존 윌크스와 관련 인쇄업자, 작가들을 반역 및 폭동 혐의로 기소했다. 그러나 이 소송에서 패소하면서, 그의 행동이 언론을 통제하려는 시도로 비춰져 대중의 지지를 잃게 되었다.[22][17]
3. 2. 윌크스 사건에 대한 비판
윌크스 개인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이었으나, 정부가 그를 하원에서 배제하려는 시도는 위헌이라고 보고 원칙적으로 반대했다.1768년 프랑스의 코르시카 정복이 일어나자, 그렌빌은 영국이 코르시카 공화국에 지원을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시 그래프턴 내각이 프랑스의 침공에 개입하지 않은 것을 비판하며, 이러한 무력함이 프랑스를 더욱 고무시킬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하원에서 "전쟁을 두려워하여 피할 수 없는 전쟁을 만들 것입니다"라고 발언하며 정부의 소극적인 외교 정책을 지적했다.[18]
1770년에는 당시 주요 쟁점 중 하나였던 선거 결과 분쟁 문제에 대해, 정부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의가 제기된 선거 결과를 다루는 법안을 통과시키는 데 기여했다.[19]
3. 3. 코르시카 지원 주장
1768년 프랑스의 코르시카 침공 이후 그렌빌은 영국이 코르시카 공화국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시 그래프턴 정부가 개입하지 않은 것을 비판했으며, 이러한 무력함이 프랑스를 고무시킬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하원에서 "전쟁을 두려워하여 피할 수 없는 전쟁을 만들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8]3. 4. 그렌빌 법 제정
1770년, 조지 그렌빌은 당시 하원에서 주요 쟁점 중 하나였던, 선거 결과에 대한 이의 제기 문제를 다루는 법안을 정부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통과시키는 데 성공했다.[19] 이 법안은 18세기 영국 정치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3. 5. 죽음
그렌빌은 1770년 11월 13일 5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2] 그의 사망 후 추종자들은 분열되었고, 상당수가 노스 경 정부에 합류했다. 장기적으로 그렌빌파는 1783년부터 수상으로 재직하며 1806년 사망할 때까지 영국 정치를 이끌었던 소피트 윌리엄에 의해 다시 힘을 얻었다. 그렌빌의 아들인 윌리엄 그랜빌 역시 나중에 잠시 수상직을 맡기도 했다.[22] 그렌빌은 버킹엄셔주 워튼 언더우드에 묻혔다.[20]조지 그렌빌의 시신은 사후 존 헌터에 의해 검시되었으며, 헌터는 자신의 소장품에 표본을 보관했다. 이 표본들은 나중에 헌터 박물관의 일부가 되었다. 영국 왕립 외과 의사 협회가 이 표본들을 분석한 결과, 조지 그렌빌이 사망 당시 다발성 골수종을 앓고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1]
4. 유산
그는 영국 수상 중 귀족 작위를 받지 않은 소수의 인물 중 한 명이다. 다른 예로는 헨리 펠럼, 젊은 윌리엄 피트, 스펜서 퍼시벌, 조지 캐닝, 로버트 필, 윌리엄 에워트 글래드스톤, 헨리 캠벨배너먼, 보너 로, 램지 맥도널드, 네빌 체임벌린, 윈스턴 처칠, 에드워드 히스, 존 메이저, 토니 블레어, 고든 브라운, 보리스 존슨, 리즈 트러스 등이 있다.
캐나다 퀘벡주에 있는 그레빌 마을은 조지 그렌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마을 이름은 다시 그레빌 조산 운동의 명칭 유래가 되었다. 그레빌 조산 운동은 초대륙 로디니아 형성과 관련된 중생원생대의 대규모 조산 운동으로, 그 흔적은 라브라도르에서 멕시코에 이르는 북미 대륙의 넓은 지역과 스코틀랜드까지 걸쳐 있는 중요한 조산대이다.
5. 가족
1749년 준남작 윌리엄 윈담 경의 딸이자 찰스 시모어 서머싯 공작의 손녀인 엘리자베스 윈덤(1719년 – 1769년 12월 5일)과 결혼했다.[22] 막내아들 윌리엄 윈담 그렌빌은 후에 총리가 되었다.
부부는 네 명의 아들과 네 명의 딸을 두었다.[23] (일부 기록에는 다섯 명의 딸이 있다고 한다.)[22]
이름 | 생몰년 | 비고 |
---|---|---|
리처드 그렌빌 | (1759년 사망) | 요절 |
조지 뉴전트-템플-그렌빌 | (1753년 6월 17일 – 1813년 2월 11일) | 초대 버킹엄 후작, 초대 버킹엄 앤드 챈도스 공작의 아버지 |
샬롯 그렌빌 | (1754년경 – 1830년 9월 29일) | 1771년 워킨 윌리엄스-윈 경(1749–1789)과 결혼, 8자녀 (6명 성인) |
토머스 그렌빌 | (1755년 12월 31일 – 1846년 12월 17일) | 국회의원, 서적 수집가, 미혼 |
엘리자베스 그렌빌 | (1756년 10월 24일 – 1842년 12월 21일) | 1787년 존 프로비 캐리스포트 백작(1751–1828)과 재혼, 3녀 |
윌리엄 윈담 그렌빌 | (1759년 10월 25일 – 1834년 1월 12일) | 초대 그렌빌 남작, 영국 수상 |
캐서린 그렌빌 | (1761년 – 1796년 11월 6일) | 1780년 리처드 네빌-올드워스(1750–1825, 후일 제2대 브레이브룩 남작)와 결혼, 4자녀 |
헤스터 그렌빌 | (1767년 이전 – 1847년 11월 13일) | 1782년 휴 포테스큐 포테스큐 백작과 결혼, 9자녀 |
1770년 그렌빌이 사망했을 당시, 그는 그의 형 리처드(1752년 어머니로부터 작위를 계승했지만 아들이 없었다)가 가지고 있던 템플 백작령의 추정 상속인이었다. 1779년 리처드가 사망하자, 조지의 둘째 아들(생존한 장남)인 조지가 제3대 템플 백작으로 계승했고, 후에 버킹엄 후작으로 봉해졌다. 그의 남계 혈통은 1889년 제3대 버킹엄 앤드 챈도스 공작의 사망으로 단절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Public Opinion and the House of Commons: John Wilkes
http://britain.libra[...]
Library 4 History
2010-10-28
[2]
서적
Lawson
[3]
서적
Lawson
[4]
서적
Lawson
[5]
서적
Brown
[6]
서적
Lawson
[7]
서적
Lawson
[8]
서적
Lawson
[9]
서적
Anderson
[10]
웹사이트
George Grenville, Smith Rebellion 1765
http://smithrebellio[...]
Little, Brown and Company
2010-10-28
[11]
웹사이트
British Reforms and Colonial Resistance, 1763-1766 The American Revolution, 1763 - 1783 U.S. History Primary Source Timeline Classroom Materials at the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2023-08-19
[12]
웹사이트
Marjie Bloy Ph.D., Senior Research Fellow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http://www.victorian[...]
[13]
서적
Thomas
[14]
서적
Lawson
[15]
서적
Johnson
[16]
서적
Lawson
[17]
웹사이트
George Grenville (1712–1770)
http://www.britannia[...]
Britannia.com
2010-10-27
[18]
서적
Thomas
[19]
서적
Lawson
[20]
서적
GrenODNB
[21]
논문
John Hunter's Post-Mortem Examination Of George Grenville (1712–1770)
http://discovery.ucl[...]
[22]
웹사이트
George Grenville (1712–1770)
http://www.historyho[...]
Dr. Bloy, A Web of English History
2010-10-25
[23]
서적
The Grenvillites, 1801–29: Party Politics and Factionalism in the age of Pitt and Liverpool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4]
웹사이트
Temple, Earl (GB, 1749 - 1889)
http://www.cracrofts[...]
Heraldic Media Limited
2015-11-20
[25]
웹사이트
GRENVILLE, George (1712-70).
https://www.historyo[...]
2020-05-11
[26]
웹사이트
GRENVILLE, George (1712-70), of Wotton, Bucks.
https://www.historyo[...]
2020-05-11
[27]
백과사전
Grenville, George Nugent-Temple-
[28]
웹사이트
Grenville, Baron (GB, 1790 - 1834)
http://www.cracrofts[...]
2003-02-10
[29]
백과사전
Grenville, William Wyndham
[30]
백과사전
Grenville, George (1712-1770)
[31]
웹사이트
GRENVILLE, Richard (1711-79), of Wotton, Bucks.
https://www.historyo[...]
2020-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